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검색어 도로시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7월 서울 샤롯데씨어터에서 개막…박칼린·정영주 출연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7월 서울 샤롯데씨어터에서 개막…박칼린·정영주 출연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가 오는 7월 10일부터 9월 14일까지 서울 샤롯데씨어터에서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샘컴퍼니는 15일 이 같은 공연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브로드웨이 42번가〉는 미국 대공황 시대를 배경으로 최고의 작품을 만들어가는 연출자와 배우들의 꿈과 열정을...

2025년 5월 15일|데일리뉴스팀
“정말 이상한 세상이야”, 〈블루 벨벳〉과 〈스트레이트 스토리〉 데이빗 린치 감독을 추모하며

“정말 이상한 세상이야”, 〈블루 벨벳〉과 〈스트레이트 스토리〉 데이빗 린치 감독을 추모하며

“정말 이상한 세상이야. ” 사랑과 혐오, 혹은 선과 악 사이에서 배회하는 욕망의 그림자라고나 할까. 설명하기 힘든, 혹은 설명을 거부하는 기괴한 성장영화이자 로맨스 영화라는 점에서 <블루 벨벳>(1986)은 현대 영화사에 있어 가장 논쟁적인 작품 중 하나다.

2025년 1월 22일|주성철
[90년대생 여성배우⑨: 데이지 에드가 존스] 자연과 인간 모두를 수호하는 여성 영웅으로 거듭난 데이지 에드가 존스

[90년대생 여성배우⑨: 데이지 에드가 존스] 자연과 인간 모두를 수호하는 여성 영웅으로 거듭난 데이지 에드가 존스

바다와 습지, 들판 그리고 토네이도의 한가운데까지. 데이지 에드가 존스의 인물들은 자연의 곳곳을 누볐다. 숱한 작품 속에서 그녀는 자연으로부터 삶을 터득하거나 위로를 받았다. 때로는 경외감을 넘어서 두려움을 느꼈고, 맞서 싸우기도 했다.

2024년 11월 26일|추아영
[90년대생 여성배우⑧: 아드리아 아르호나] 타임지가 꼽은 유망주, 새로운 블록버스터 스타

[90년대생 여성배우⑧: 아드리아 아르호나] 타임지가 꼽은 유망주, 새로운 블록버스터 스타

타임이 뽑은 차세대 스타 ‘블록버스터가 사랑하는 새로운 얼굴’이라고 말하고 싶다. 아드리아 아르호나는 할리우드 대작 영화들이 사랑하는 스타의 요건을 모두 갖췄다. 위노나 라이더 등이 떠오르는 외모, 짧은 등장만으로도 시선을 끄는 매력, 우아한 카리스마, 그리고...

2024년 11월 19일|김지연
“기억하니? 9월의 그날들을…” 올해 당신이 보게 될 가장 사랑스러운 애니메이션〈로봇 드림〉

“기억하니? 9월의 그날들을…” 올해 당신이 보게 될 가장 사랑스러운 애니메이션〈로봇 드림〉

제76회 칸영화제를 통해 첫선을 보인 <로봇 드림>이 3월 13일 개봉한다. <로봇 드림>은 뉴욕 맨해튼에 혼자 사는 도그가 반려 로봇을 만나며 누리는 꿈같은 일상과 우정을 그려낸 애니메이션으로 애니메이션계의 칸영화제라 불리는 안시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에서 장편 콩트르상 부문 대상을...

2024년 3월 11일|추아영
더 강해진 토네이도, 〈트위스터스〉 7월 개봉

더 강해진 토네이도, 〈트위스터스〉 7월 개봉

1996년 영화 〈트위스터〉의 독립형 속편, 정이삭 감독 연출

90년대 대표 재난영화 <트위스터>의 후속작 <트위스터스>가 2024년 7월 극장가를 노린다. 얀 드봉 감독의 <트위스터>는 거대한 토네이도를 추적하며 측정장치 '도로시'를 설치하려는 기상학자 조 하딩(헬렌 헌트)과 가족, 그리고 그의 기술을 빼돌린 조나스 밀러(캐리...

2024년 2월 14일|성찬얼
크리스토퍼 놀란과 '오펜하이머' 킬리언 머피에게 영향을 준 영화는? 블루레이 샵 찾은 놀란과 머피

크리스토퍼 놀란과 '오펜하이머' 킬리언 머피에게 영향을 준 영화는? 블루레이 샵 찾은 놀란과 머피

<오펜하이머>로 현재까지 약 250만 명의 국내 관객을 놀라게 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반대로, 그를 놀라게 한 영화는 무엇일까. 크리스토퍼 놀란과 킬리언 머피는 프랑스의 유명 블루레이 판매점 ‘JM Video’에 방문해, 각자가 좋아하는 영화에 대해 밝혔다.

2023년 9월 1일|씨네플레이
이젠 마스크도 안 쓰는데! 코로나 아니었으면 더 사랑받았을, 묻히기 아까운 한국 영화들

이젠 마스크도 안 쓰는데! 코로나 아니었으면 더 사랑받았을, 묻히기 아까운 한국 영화들

지난 1월 30일, 의료시설과 대중교통 등 일부를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시설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졌다. 2020년부터 시작된 이 지긋지긋한 코로나 팬데믹의 끝자락이 보인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정말 많은 사람과 산업들이 뜻하지 않은 위기를 맞았다. 영화계도 예외는 아니다.

2023년 2월 3일|씨네플레이
총 74개 항목 중 1-2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