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해피엔드〉 네오 소라 감독 “일본에서 계엄이 발생했다면, 한국처럼 많은 사람들이 모였을까?”
용감하고 직설적이고 뻔뻔하며 에너지가 가득한 영화가 도착했다. 일본의 네오 소라 감독이 연출한 <해피엔드>다. 전작으로 이미 감독의 이름을 외운 몇몇 관객도 있다. 고 류이치 사카모토의 마지막 연주를 담은 다큐멘터리 <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2023)가 재작년 국내 개봉했고,...
용감하고 직설적이고 뻔뻔하며 에너지가 가득한 영화가 도착했다. 일본의 네오 소라 감독이 연출한 <해피엔드>다. 전작으로 이미 감독의 이름을 외운 몇몇 관객도 있다. 고 류이치 사카모토의 마지막 연주를 담은 다큐멘터리 <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2023)가 재작년 국내 개봉했고,...
영화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이 열어젖히는 뭄바이의 새벽은 믿을 수 없이 혼잡하고 매캐하다. 보는 것만으로 목이 따끔거리더니 고단한 이주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태피스트리처럼 얽히며 북적대는 대도시 위로 흐르자 어느새 심장까지 욱신거린다.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13개 부문 최다 후보에 오른 뮤지컬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가 오는 3월 12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여자로 다시 태어나고 싶은 갱단 보스와 그의 아내, 그리고 새로운 삶을 선물할 변호사가 얽힌 이 파격적인 작품은 프랑스의 거장 자크 오디아르 감독의...
2025년도 벌써 1달이 지나가는 와중, 작년 유수의 '올해의 영화' 리스트에서 빈번하게 이름을 올린 영화들 가운데 한국 극장가에 소개되지 않은 여덟 작품을 소개한다. 미세리코르디아 Miséricorde 알랭 기로디 프랑스 감독...
1980년대 독일의 재독여신도회에서 만난 레즈비언 커플 이수현님과 김인선님의 이야기
낯선 나라 독일에서 반평생을 함께 해온 ‘두 사람’의 사랑으로, 경계 너머 서로에게 나아가는 로맨틱 다큐멘터리 <두 사람>이 2월 12일 개봉한다. 서울과 베를린을 오가며 퀴어 페미니즘 시각으로 작품 활동을 지속해 온 반박지은 감독의 첫 장편 다큐멘터리 <두 사람>은 1980년대...
문승욱 감독이 연출하고 배우 조진웅이 내레이션을 맡아 8월 개봉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5년 8월 15일, 대한민국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다큐멘터리 <독립군>이 1월 7일 제작 발표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간다. 이번 프로젝트는 ‘독립군 제작위원회’(광복회,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가 주최하며, 블루필름웍스가 제작을 함께 한다.
연말에 접어들면 한 해의 사사로운 영화 리스트를 작성해보는 것은 시네필이라면 갖기 마련인 은근한 즐거움일 것입니다. 그동안 보았던 영화를 돌이키고 여러 작품들과 함께했던 시간의 기억들을 엮어 정리하며 한 해를 마감하는 한편으로는, 내년에 마주하게 될 미지의 영화에 대한 기대 역시...
IMF 이후 보고타에 한국인들이 모인다. 콜롬비아의 수도이자, 안데스산맥의 고원 분지에 위치하여 볼리비아 라파스와 에콰도르 키토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 높은 곳에 자리한 대도시가 바로 보고타다.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이하 <보고타>, 제공·배급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은...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국희(송중기)가 보고타 한인 사회의 실세 수영(이희준), 박병장(권해효)과 얽히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한국 영화 최초로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펼쳐지는 한국인들의 파란만장한 생존기를 담아낸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감독 김성제, 제공·배급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이 12월 31일 개봉을 확정하고 티저 예고편과 1차 보도스틸을 공개했다.
“오직 동시대 작가가 쓴 동시대 이야기를 읽음으로써 생겨나는 감각이 있습니다. 지금이 아니면 할 수 없는 문학적 경험이 있습니다. 그 한가운데 젊은 작가가 있습니다. (후략)” 위 문구는 출판사 민음사 '오늘의 젊은 작가 시리즈'의 소개 문구다.
비틀쥬스 비틀쥬스 감독 팀 버튼 출연 마이클 키튼, 위노나 라이더, 캐서린 오하라 정유미 영화 저널리스트 팀 버튼, 팀 버튼, 팀 버튼 ★★★☆ 팀 버튼 감독의 대표작 <비틀쥬스>(1988)의 후속편.
젊은 소설가들이 문단의 주류가 되고 본격문학과 대중문학 또는 장르문학 사이의 높았던 벽이 낮아지며 영화계가 수혜를 입고 있다. 구체적 현실을 담아 공감받은 소설들이 꾸준히 영화화, 드라마화되더니 최근에는 그 수가 부쩍 늘었다.
1960년대 최고의 미남 배우라고 불렸던 알랭 들롱이 지난 8월 18일 세상을 떠났다. 1960년대 프랑스 영화의 전성기를 이끈 그는 <사랑은 오직 한 길>(1958), <아가씨 손길을 부드럽게>(1959) 등의 로맨스 영화에서 아름다운 외모로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총 5편의 단편으로 구성, 9월 4일 개봉
2022년 영화 <기기묘묘>의 명성을 이을 공포영화 <기기묘묘2>가 9월 개봉한다. <기기묘묘>는 2022년 9월 22일 개봉한 공포영화로 4편의 단편을 엮은 옴니버스 호러. 공포라는 테마 아래 4명이 감독이 연출한 4편의 단편 호러가 관객들을 만나 신선한 재미를 안겼다.
‘오사카 지역 방적회사에서는 조선여자를 많이 쓰고 있다. 셋츠 방적에 54명, 미에 방적 지점에 40명, 그 외에 대여섯 명이 있는 곳은 여기저기 보인다. 내지 여자들과 비교하면 유순하고 근면하며 무엇보다 남자에 미치는 일이 없는 것이 큰 장점이다.
한 명의 ‘선자’를 연기한 윤여정&김민하
강렬한 울림을 선사하는 스토리와 배우들의 열연으로 전 세계로부터 찬사를 받은 <파친코> 시즌 1의 주역 윤여정, 김민하가 시즌 2로 돌아온다. 이들은 시즌 2에서 다시 한번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묵직한 울림을 선사할 예정이다.
아마도 ‘안소희’하면 여전히 젖살이 통통한 그때의 모습을 떠올리는 사람이 적지 않을 테다. 하지만 2007년 ‘Tell me’로부터 벌써 2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지금, 강산이 변한 만큼 국민 여동생 소희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서부극은 미국 영화의 초창기를 융성하게 한 장르였다. 1940년에서 1960년대까지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의 절반 이상이 서부극이었을 거라고 해도 과언 아니다. 그러다가 1970년대로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제작 편수가 줄었다.
김태용 감독이 탕웨이, 수지, 박보검, 정유미, 최우식 배우라는 화려한 캐스팅과 함께 13년 만에 돌아온다. <만추>(2011) 이후 그의 첫 장편 영화인 <원더랜드>는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원더랜드’ 서비스가 일상이 된 세상을 그린다.
개막식 사회자 강소라, 개막작 장권호 감독의〈빛과 몸〉
2024 춘천영화제(이사장 박기복)의 개막식 사회자와 개막작이 확정되었다. 6월 20일 목요일 오후 7시 춘천 공지천 청소년푸른쉼터에서 열리는 개막식을 열고 닫을 사회자는 배우 강소라다. 작년 옥자연 배우에 이어 올해도 춘천영화제 개막식은 ‘원 톱’ 사회자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