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혼종성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과잉의 미학, 루카 구아다니노의 〈퀴어〉
이제껏 사랑의 다양한 양태를 그려왔던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이 또 다른 사랑 이야기로 돌아왔다. 6월 20일 개봉하는 영화 <퀴어>는 마약과 알코올에 빠져 방탕한 생활을 즐기는 작가 리가 아름다운 청년 유진에게 빠져들면서 시작된 사랑을 그려낸다.
이제껏 사랑의 다양한 양태를 그려왔던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이 또 다른 사랑 이야기로 돌아왔다. 6월 20일 개봉하는 영화 <퀴어>는 마약과 알코올에 빠져 방탕한 생활을 즐기는 작가 리가 아름다운 청년 유진에게 빠져들면서 시작된 사랑을 그려낸다.
서울퀴어문화축제 조직위원회는 이화여자대학교 내 독립영화관 '아트하우스 모모'가 퀴어영화제 개최를 위한 대관을 불허한 결정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고 14일 밝혔다. 조직위는 이날 종로구 향린교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과 독립영화관이 검열과 혐오에 굴복했다"며...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가 상승세다. 로제의 ‘APT. ’ 차트 순위도, 서울의 아파트 시세도 떨어질 줄을 모른다. 그러니 ‘영끌’을 해서라도 자가 아파트만 있으면 모든 게 달라질 줄 알았다. 아니, 모든 게 달라지긴 했다. 보다 안 좋은 방향으로.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가 개막을 앞두고 있다. 올해 14회를 맞이한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이하 프라이드 영화제)는 11월 7일(목)부터 13일(수)까지 CGV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에서 열린다. 국내 가장 큰 규모의 LGBTQ 국제영화제로 국내외 퀴어영화를 가장 발 빠르게, 폭넓게 만날 수...
허진호, 홍지영 감독의 인터뷰에 이어 <대도시의 사랑법>의 공동 연출자 손태겸, 김세인 감독, 그리고 원작자이자 각본에 참여한 박상영 작가의 시리즈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본다. 손태겸 감독은 단편 <야간비행>(2011)으로 칸국제영화제 시네파운데이션상을 받고, 장편 데뷔작 <아기와...
10월 2일부터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린다. 부산국제영화제는 국내 국제영화제 중 한 해를 갈무리하는 영화제로 화제작이나 숨은 보석 같은 영화를 찾는 관객들이 대거 방문하는 축제의 장이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정부의 지역 영화제 지원 삭감에도 나름의 생존전략으로 관객들을 만날 수 있게...
‘퀴어 영화’하면 <브로크백 마운틴>(2006)이나 <캐롤>(2016) 같은 로맨스 장르가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퀴어에는 보다 다양한 시선이 얽혀 있다. 당연한 일이다. 인생에는 ‘로맨스’만이 주인공이 될 수 없으니까.
전 세계적인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의 바람은 영화계에도 LGBTQ+의 다양한 이야기를 소환하는 신호탄이 됐다. 그리하여 퀴어영화는 영화계에서 특별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훨씬 끈질기다. ” 25회를 맞은 이번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슬로건이다. 단절을 종용하는 혼돈의 시대 속에서 ‘지금, 여기에서, 여전히’ 여성들이 서로 연결되는 현장을 이어 나가기 위한 의지의 표명은 자그마한 희망을 품게 만든다.
이루지 못해 더 애틋한 사랑, 따위의 말은 하고 싶지 않다. 그들의 사랑은 영원히 이뤄질 수 없고, 학창시절 순간의 치기어림으로 치부해 버리는 문구이기에 다분히 폭력적이다. 이성애 관계 중심으로 돌아가는 세상 속에서 레즈비언들은 여러 시선을 받는다.
맞은편으로 향하는 일...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는 어떤 현실의 벽과 부딪히며 시작하는 영화다. 조지아 국립무용단에서 소속된 메라비(레반 겔바키아니)는 무용단을 이끄는 단장으로부터 매번 남성적인 힘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기생충>의 오스카 수상 이후. 한국영화는 그 어느때 보다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해외 매체 사이트에서 <기생충>을 비롯한 한국영화 소식을 접하는 것은 더이상 신기한 일이 아니다. '<기생충>을 좋아하는 당신에게 추천하는 한국영화' 해외 매체 <콜라이더>에서 이러한 제목의 기사를...
딱 1년 만에 <클로젯>으로 스크린에 돌아온 김남길....
지난 한 해, 독립영화가 극장가의 하나의 흐름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보라 감독의 <벌새>는 많은 관객들에게 위로를 주고, ‘전세계 영화제 46관왕’, ‘관객 수 14만 명 이상’이라는 어마어마한 성과를 기록해 한국 독립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2020년을 맞이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거 같은데, 민족 대명절 설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4일간의 꿀 같은 휴가가 지나고 나면 당분간은 휴일도 없다비극이다. 어떻게든 이 명절을 알차게 보내야 하는 독자들을 위해 준비했다.
차별금지법, 동성결혼 법제화 위해 ‘조금씩’ 나아가겠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작이었던 <윤희에게> 개봉을 앞두고 배우 김희애는 “내가 주인공이라 흥행 면에서는 솔직히 걱정이다. 여자고, 나이도 있으니 한국영화계에서 플러스 요인이 아니지 않나”라고 말한다.
소지섭·김윤진 <자백> 출연 확정...
여자들은 영화의 손을 잡고 미래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