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구룡성채: 무법지대〉 리뷰와 정바오루이 감독 인터뷰, “홍콩을 향한 당신과 나의 변함없는 사랑에 대하여”
<아비정전>(1990)의 마지막, 담배를 입에 문 양조위가 외출을 준비하는 낡은 집 장면이 바로 구룡성채(九龍城寨)에서 촬영됐다. <성항기병>(1984)에서 출구 없는 미로에 갇혀버린 주인공들이 최후를 맞이한 곳도 바로 구룡성채였다.
<아비정전>(1990)의 마지막, 담배를 입에 문 양조위가 외출을 준비하는 낡은 집 장면이 바로 구룡성채(九龍城寨)에서 촬영됐다. <성항기병>(1984)에서 출구 없는 미로에 갇혀버린 주인공들이 최후를 맞이한 곳도 바로 구룡성채였다.
우리 모두 ‘장국영의 시대’를 살았다고 이야기해보면 어떨까. 떠나버린 장국영처럼 이제는 다시 돌아오지 않을 바로 그 홍콩영화의 전성기가 있었다. 때는 1987년, 5월 23일 개봉한 <영웅본색>과 같은 해 12월 25일 개봉한 <천녀유혼>으로 한국에서는 거의 신드롬에 가까운 현상이...
우리가 고대했던 홍콩 액션영화의 컴백홈
<아비정전>(1990)의 마지막, 담배를 입에 문 양조위가 외출을 준비하는 낡은 집 장면이 바로 구룡성채(九龍城寨)에서 촬영됐다. <성항기병>(1984)에서 출구 없는 미로에 갇혀버린 주인공들이 최후를 맞이한 곳도 바로 구룡성채였다.
<연지구>(1987), 이제는 볼 수 없는 장국영과 매염방을 그리며 지겹도록 홍콩을 다니면서 새롭게 발견한 지역이 어디냐고 묻는다면, 단연 홍콩섬 셩완에서도 서쪽으로 더 뻗어나간 지역인 사이잉푼과 케네디타운이다.
할리우드에 톰 크루즈가 있다면, 홍콩에는 유덕화가 있다. 데뷔 이래 급속도로 스타덤에 오른 이후 현재까지 단 한 번도 정상의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았고, 철저한 자기관리와 팬서비스로 언제나 변함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무척 닮았다.
<골드핑거>의 가장 중요한 감상 포인트는 <무간도>(2003) 이후 양조위와 유덕화의 20년 만의 만남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무간도>에서 두 배우는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영화 안에서 별로 마주치지 않았다.
일본영화 축제였다. 구로사와 기요시와 고레에다 히로카즈, 그리고 하마구치 류스케, 그렇게 세 명의 일본 감독이 무대를 가득 채웠다. 지난 3월 10일 홍콩 시취센터에서 열린 제17회 아시아필름어워즈(Asian Film Awards)에서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가 최고...
<원 모어 찬스>의 최초 제목 <광휘세월> <원 모어 찬스>에서 주윤발의 역할 이름은 오광휘다. 그래서 맨 처음 이 영화의 제목으로 정했던 것은 바로 <광휘세월>이었다. 그런데 이 제목은 홍콩을 대표하는 록그룹 비욘드(BEYOND)의 노래 중 ‘광휘세월’(光辉岁月)이...
올해 베니스국제영화제 평생공로상을 수상한 양조위...
5월 2주차 개봉작 (5/10~12)...
가끔 극장 상영 시간표를 보면 '이 영화 아직도 해. ' 할 정도로 빈번하게 재개봉하는 인기작이 있다. 그중 최근 가장 재개봉이 잦은 건 코로나19로 삭막해진 감성을 채워주는 것 같은 낭만이 만개하는 홍콩영화다.
지난 주말, 홍콩 영화와 비디오를 접하며 자란 사람들에겐 충격적인 소식이 들렸다. 2021년 2월 말, 간암 투병 중이라고 밝힌 홍콩 영화배우 오맹달이 투병 소식을 전한 후 팬들이 안타까워할 새도 없이 27일 세상을 떠났다.
‘코로나만 없었다면 지금쯤 올해의 여행 계획을 세우고 있었을 텐데’라고 생각하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영화만큼이나 여행을 좋아하는 저 같은 사람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대작들이 계속해서 개봉을 미루고 있는 요즘. 그 자리를 채운 건 재개봉 영화와 소규모 영화들인데요.
화이트스톰2 : 마약전쟁 감독 구예도...
뉴트로 열풍이 스크린에도 불어닥쳤다. 90년대를 배경으로 한 국내 영화 <벌새>와 <유열의 음악앨범>을 비롯해 1990년대 LA의 풍경이 담긴 조나 힐 감독 연출작 <미드 90>도 개봉을 앞두고 있는 상태.
곧 7월, 여름 휴가 시즌이다. 마음만은 멀리 가고 싶지만 그렇지 못한 독자들, 딱히 휴가 계획이 없는 독자들을 위해 영화 속 여름 휴가지를 준비했다. 유의할 점은 여기 소개하는 곳들, 여름에 갔다가 더워 죽을 수 있다.
1990년대. 스마트폰이 아니, 휴대전화도 없던 시절. 인터넷도 없고 이제 막 PC통신을 하던 시절. 30여년 전 그 시대의 청춘의 담은 영화 다섯 편을 소개한다. 갑자기 왜 1990년대냐고. 음… <캡틴 마블>을 보고 나니 문득 생각이 났다고 해야 할까.
홍콩에 가야겠다고 결심한 건 지난해 겨울이었다. 홍콩 디즈니랜드의 스타워즈 어트랙션이 곧 없어진다는 소식을 들었다. 사람이 많은 걸 질색하는 터라, 아무리 대단한 스타워즈 어트랙션이 있다 해도 상하이 디즈니랜드에 가는 건 무리.
삼바, 삼바, 삼바. 중계 모드로 소개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에디터 펩시입니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이 개막했습니다. 고질적인 치안 문제, 브라질 호세프 대통령 탄핵, 그로 인한 국내 시위, 비위생적인 물 등 개막 전부터 이런저런 문제가 들려오면서 심드렁해 있었던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