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검찰에 기소된 칼 린시 감독이 2013년 11월 영화 〈47 로닌〉 기자회견에 참석한 모습 [AP 연합뉴스 자료사진]](/_next/image?url=https%3A%2F%2Fcineplay-cms.s3.amazonaws.com%2Farticle-images%2F202503%2F17868_205471_1010.jpg&w=2560&q=75)
미국 연방 검찰이 넷플릭스로부터 수백억 원의 제작비를 받고도 약속된 시리즈를 완성하지 않은 채 자금을 개인적 용도로 유용한 할리우드 감독 칼 에릭 린시를 기소했다.
미국 뉴욕남부지방검찰청은 지난 18일 로스앤젤레스 웨스트 할리우드에서 칼 에릭 린시 감독을 체포해 사기 등 7개 혐의로 기소했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칼 린시 감독은 TV 시리즈 제작을 명목으로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로부터 받은 수백만 달러를 투기성 옵션과 가상화폐 투자 등 개인적 용도로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미 연방수사국(FBI) 레슬리 백스키스 부국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칼 린시는 약속된 TV 시리즈를 완성하는 대신, 사치품 구매와 개인적인 투자에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유명한 스트리밍 플랫폼의 자금에서 1천100만 달러(약 161억3천만원) 이상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검찰 기소장에는 피해 업체가 명시되지 않았으나, '버라이어티'는 법원 기록을 근거로 해당 업체가 넷플릭스라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도 2023년 11월 넷플릭스와 린시 감독 사이의 분쟁을 상세히 다룬 바 있다.
키아누 리브스 주연 영화 〈47 로닌〉(2013)으로 명성을 얻은 린시 감독은 〈White Horse〉라는 SF TV 시리즈 각본을 일부 완성해 2018년 넷플릭스와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 검찰 기소장과 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당시 제작비로 약 4천400만 달러(약 645억3천만원)를 린시 감독 측에 지급했다.
이후 린시 감독은 촬영을 시작했으나 비용 부족을 이유로 추가 자금을 요청했고, 넷플릭스는 1천100만 달러를 추가로 제공했다. 그러나 린시 감독은 이 자금을 위험한 콜·풋옵션 등 유가증권 매수에 투입해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절반 이상을 손실했다.
또한 남은 자금은 가상화폐 투자, 이혼소송 비용, 고급 호텔 숙박비, 명품 자동차와 시계 구매 등 개인적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국 넷플릭스가 투자한 시리즈는 완성되지 못했다.
검찰은 린시 감독이 전신 사기 혐의로 최대 20년, 자금 세탁 혐의로 최대 20년, 나머지 5개 혐의로 각각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에 대해 넷플릭스 측은 언론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