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앨범으로 차트 1위한 아이돌!? 아는 사람만이 낼 수 있는 깊은맛 특식 〈케이팝 데몬 헌터스〉
수많은 매체, 수많은 작품. 상향 평준화된 산업과 쏟아지는 신작 사이에서 이제는 ‘될 것 같다’는 느낌을 단번에 주는 작품을 만나기 쉽지 않다. 훌륭한 영상미, 화려한 출연진, 참신한 스토리에도 눈길을 확 끌 수 있는 예고편은 적고, 그중에서도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작품은 더 적다.
수많은 매체, 수많은 작품. 상향 평준화된 산업과 쏟아지는 신작 사이에서 이제는 ‘될 것 같다’는 느낌을 단번에 주는 작품을 만나기 쉽지 않다. 훌륭한 영상미, 화려한 출연진, 참신한 스토리에도 눈길을 확 끌 수 있는 예고편은 적고, 그중에서도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작품은 더 적다.
4월 1일은 또 돌아온다. 해마다 재개봉 영화의 중심에 서 있는 배우가 바로, 2003년 4월 1일 세상을 떠난 홍콩의 가수 겸 배우 장국영이다. 그 미모를 일컬어 미목여화(眉目如畵), 즉 ‘눈과 눈썹이 그림을 그려놓은 것처럼 아름답다’고 했을 정도로 그만의 독특한 매력으로...
영화 <혈의 누>는? <혈의 누>는 <번지점프를 하다>를 연출한 김대승 감독의 2005년 개봉작이다. 제지업을 기반으로 한 외딴섬마을에서 벌어진 화재사건과 살인사건을 조사하는 원규(차승원) 일행이 이곳에서 숨겨 놓은 비밀에 점점 다가가는...
90년대 한국영화의 트렌디멜로 전성시대, 당시 개봉한 〈101번째 프로포즈〉와 〈첫사랑〉에 대해
※ 1부에서 이어집니다. (하단 관련글 참조) 예컨대 <결혼이야기>는 신혼부부의 사소한 갈등, 특히 남녀의 역할 분담에서 오는 소소한 싸움들이 주요한 에피소드가 되는 작품이고, <미스터 맘마>는 가부장적인 남편을 참지 못하고 가출한 아내를 대신하여 육아를 떠안게 된 남자의...
한국영화의 첫번째 황금기는 1960년대다. 휴전 이후 1950년대 후반부터 한국영화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기 시작하여 60년대에 이르면 연간 제작편수 200편이 넘는 완연한 성장 산업으로 안착하게 된다. 주목할 만한 점은 황금기에 개봉했던 대부분의 영화들이 멜로 장르였다는 사실이다.
※ 1부에서 이어집니다 ...
길고 길었던 군사정권의 암흑기가 끝나고, 표현의 자유가 (어느 정도) 허용되면서 한국영화는 일대 변혁을 맞게 된다. 나아가 영화산업의 맥락에서는 영화사의 허가제가 등록제로 바뀌면서 영화사의 설립이 자유로워지고, 영화제작 과정 전반에 큰 변화가 일기 시작한다.
창작하는 사람은 동어 반복이라는 함정에 쉽게 빠질 수 있다. 기존 작품에서 이미 성공을 거두었고, 찬사와 지지를 경험했던 사람들이라면 더욱 안전한 길로만 가고 싶을 것이다. 이미 대중들의 취향은 뻔하다는 착시에 빠진 채, 대부분 타협을 택한다.
바야흐로 ‘여성 주인공’의 전성시대다. 최근 공개된 한국 컨텐츠들 – <길복순>(변성현, 2023), <닥터 차정숙>(JTBC), <종이달>(티빙), <나쁜 엄마>(JTBC) 등 – 은 킬러, 의사, 은행원 등 각기 다른 커리어를 가진 개성 강한 여성 리드들을 전면에 앞세워 인기몰이를...
<여섯 개의 밤> 메인포스터. 사진 제공=인디스토리(주)...
한국영화가 산업의 형태를 갖추고 활성화되기 시작했던 1950년대 중, 후반부터 멜로장르는 개봉영화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인기 품목’이었다. 정비석의 서울신문 연재소설을 영화화한 <자유부인> 은 전쟁이 끝난 고작 3년 후, 수도극장에서 개봉되었다.
사진 작가 오형근의 개인전 <왼쪽 얼굴>이 서울 삼청동 아트선재센터에서 오는 1월 29일까지 진행된다. 최근엔 <왼쪽 얼굴> 연작의 작업을 모은 사진집도 출간됐다. 오형근은 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일련의 영화 포스터 작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월하의 공동묘지>(1967)....
<남매의 여름밤>...
천문: 하늘에 묻는다감독 허진호출연 최민식, 한석규...
“상대적으로 잘 아는 분야이기도 하고 다뤄보면 재미있겠다고 생각했어요. ” 신아가·이상철 감독의 신작 <속물들>은 불법 비자금과 횡령 등 부패한 미술계 일각의 부조리를 배경으로 인간 군상의 속물근성을 그린다.
장르 영화팬들을 위한 판타스틱한 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이하 부천영화제)가 6월 27일부터 7월 7일까지 열린다. 영화제 너무 어렵다고. 장르 영화 취향이 아니라고. 영화 안 봐도 즐길 거리가 많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씨네필, 장르 영화 팬이 아니어도 즐길만한 행사들을 소개한다.
배우들에게 첫 주연작은 의미가 남다를 것이다. 그중에서도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을 받은 영화를 선택하는 것은 표현이나 노출 등 어떤 면에서든 남다른 각오가 필요했을 것이다. 지금은 스타가 된 배우들 중 청불 영화로 스크린 주연 데뷔한 배우들을 모았다.
<플로리다 프로젝트> 무니 역의 브루클린 프린스 디즈니월드 건너편...
여름 흥행대전의 서막이 열렸다. 지난해 <부산행> 천만 돌파를 예측했던 씨네플레이 에디터들은 올해도 회의 테이블에 모였다. 올여름 가장 큰 기대작으로 꼽힌 <군함도>와 <택시운전사>, 과연 승자는 어떤 영화가 될까. 씨네플레이 에디터들이 (맘대로) 예측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