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파이브〉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디어 속 슈퍼히어로 계보
5월 30일 개봉한 <하이파이브>가 120만 관객을 돌파하며 순항 중이다. <하이파이브>는 한 기증자에게 장기 기증을 받은 사람들에게 기이한 초능력이 생기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코믹 액션 영화로, 이들이 힘을 모아 사악한 초능력자를 퇴치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한국형 히어로’의...
5월 30일 개봉한 <하이파이브>가 120만 관객을 돌파하며 순항 중이다. <하이파이브>는 한 기증자에게 장기 기증을 받은 사람들에게 기이한 초능력이 생기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코믹 액션 영화로, 이들이 힘을 모아 사악한 초능력자를 퇴치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한국형 히어로’의...
지난 30일 개봉한 영화 <하이파이브>에 대한 반응이 심상치 않다. 첫 주말 흥행 1위를 기록하더니 개봉 3일 만에 누적관객 수 40만 명을 돌파했다.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이라는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과 순위를 견주고 있는 이 작품의 연출을 맡은 이는...
<서브스턴스>에 데미 무어와 마가렛 퀄리가 있다면, <하이파이브>에는 신구와 박진영이 있다. ‘새신교’라는 사이비 종교의 교주 영춘(신구/박진영)은 신의 뜻을 따르는 것이 아닌, 본인이 신이 되길 원한다.
시종일관 당황스럽거나, 신선하거나. 영화 <하이파이브>는 다소 당황스러울 수 있는 설정과 황당무계한 전개조차 재기발랄한 매력으로 뚝심 있게 밀고 간다. 중학생, 방구석 백수, 야쿠르트 아줌마 등, 초능력자의 장기를 이식받은 평범한 사람들이 저마다의 초능력을 발휘해 빌런과 맞서는...
한국 애니메이션만큼은 오랜 시간 ‘어린이 대상’이라는 프레임에 갇혀있었다. 기술력은 있었으나 산업 기반은 약했고, 대중의 기대도 크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상황이 달라졌다. OTT의 확장, IP 산업의 성장, 그리고 장르의 다변화는 한국 애니메이션의 가능성을 빠르게 넓혔다.
시간의 흐름 앞에서 영원한 건 없다. 인기가 많아 세상을 호령하던 프랜차이즈도 언젠가는 끝을 바라볼 수밖에 없다. 특히 다수의 인원이 협업하는 영화에선 장대한 시리즈라도 언제나 끝맺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익숙한 듯 새로운 맛. 4월 30일 개봉한 <썬더볼츠*>는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의 신작이지만 그간 MCU의 영화와는 사뭇 다르다. 영웅으로 타고난, 혹은 영웅으로 선택받은 인물들이 아닌 세계 곳곳의 암흑에서 일하던 이들이 얼떨결에 힘을 모으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정신적인...
모팩이 일냈다. 국내 CG/VFX 전문 기업 모팩스튜디오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가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2019)을 꺾고 미국에서 가장 흥행한 한국영화가 됐다. 제작사 모팩스튜디오에 따르면 <킹 오브 킹스>는 지난 주말 누적 수익 5,451만 달러(약 787억 원)를...
북미 영화시장에서 한국 제작사가 만든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The King Of Kings)가 개봉 2주 차에도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영화흥행 집계사이트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킹 오브 킹스〉는 개봉 둘째 주 금요일인 지난 19일(현지시간) 북미...
2025년 연말 촬영 예정
비영어권 영화 최초로 미국 아카데미 시각효과상을 받은 <고질라 마이너스 원>이 속편 소식을 전했다. 2023년 영화 <고질라 마이너스 원>(감독 야마자키 다카시)은 2차 세계대전 직후 일본에 거대 괴수 고질라가 나타나며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제임스 카메론 반AI 입장에서 전환?
‘데드라인’에 의하면,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영화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는 최근 메타(Meta)의 최고기술책임자 앤드류 보스워스가 진행하는 팟캐스트 ‘Boz to the Future’에 출연해 팬데믹 이후 비용 절감에...
봉준호의 <미키 17> <기생충>(2019) 뿐 아니라 <살인의 추억>(2003)과 <괴물>(2006) 그리고 <마더>(2009)와 같이 봉준호 감독의 필모그래피에서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영화들은 한국사회의 음울한 풍경을 단순히 재현하는 선을 넘어, 그 안에 깃든 구조적...
마블 영화, 정확히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영화를 수식하는 단어는 근 몇 년 동안 변화무쌍하게 바뀌었다.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MCU는 ‘믿보’가 됐다가 ‘(먹을 것 없는) 소문난 잔치’가 됐다가 이제는 아예 ‘그럼 그렇지’가 되고 말았다.
부침을 이겨내고자 한차례 숨을 돌리고 신발끈을 다시 묶었다. 과연 다시 출발선에 선 이들이 최고의 자리를 되찾을 수 있을까.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이하 MCU)의 2025년 첫 타자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가 2월 12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개미친영화' <서브스턴스>(2024)가 개봉 33일차인 지난 12일 20만 관객 고지를 돌파했다. 13일에는 관객 20만 7121명을 달성해 <존 오브 인터레스트>(2023)의 누적 관객수를 넘어서며 2024년 개봉한 독립예술영화 외화 1위에 등극했다. 하지만 아직 놀라긴 이르다.
12월 16일, <모털 엔진>이 넷플릭스에 다시 입고된다. 한동안 프라임비디오에서만 만날 수 있었던 <모털 엔진>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SF영화. 이동하는 도시, 이른바 '견인 도시'들이 격돌하는 세상에서 살아가는 헤스터 쇼와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거장 리들리 스콧 감독이 24년 만에 대표작의 속편을 공개한다. 2000년 개봉해 센세이널한 반응을 모은 <글래디에이터>의 속편 <글래디에이터 Ⅱ>(이하 편의상 2로 표기한다)는 막시무스의 죽음 이후 20여 년이 흐른 시점에서 막을 연다.
최다 노미네이트는 12개 부문의 〈파묘〉
올해 45회를 맞이하는 청룡영화상이 후보를 공개했다. 오는 11월 29일 진행을 앞둔 청룡영화상은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신인감독상, 남녀주연상, 남녀조연상, 남녀신인상, 촬영조명상, 각본상, 음악상, 미술상, 편집상, 기술상 등 15개 부문의 후보를 공개했다.
마침내 에디 브록과 베놈의 마지막 장이 열린다. 10월 23일 개봉한 <베놈: 라스트 댄스>는 2018년 개봉한 <베놈>, 2021년 개봉한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에 이은 세 번째 '베놈' 실사 영화다.
‘Little Drummer Boy'라는 영어권의 관용적 표현은 18세기 말엽, 나폴레옹 시대 유럽의 전쟁 양상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배리 린든>(1975)이나 <워털루>(1970), <나폴레옹>(2023) 같은 대형 서사극에서 재현된 바와 같이, 이 시기의 전쟁이란 머스킷 소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