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은 MCU의 꿈을 꾸(었)는가, 다크 유니버스의 현재와 미래
3월 5일 <울프맨>이 개봉한다. 울프맨. 의무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바로 뜻을 알 수 있을 만큼 쉬운 제목이다. 제목처럼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호러영화인데, 그 뿌리는 무려 1941년 동명의 영화이다.
3월 5일 <울프맨>이 개봉한다. 울프맨. 의무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바로 뜻을 알 수 있을 만큼 쉬운 제목이다. 제목처럼 늑대인간이 등장하는 호러영화인데, 그 뿌리는 무려 1941년 동명의 영화이다.
전작 <무뢰한>(2015) 이후 오승욱 감독은 전도연이라는 배우를 집중 탐구한 또 하나의 결과물 <리볼버>를 내놓았다. 무려 9년 만의 신작이다. <무뢰한>의 김혜경(전도연)이 잠적한 범인의 애인으로 그가 떠난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면, <리볼버>의 하수영(전도연)은 초반부터 쉬지 않고...
학교 폭력과 사이비 종교를 소재로 한 성장영화 <지옥만세>는 <거짓말>(2009)을 시작으로 일련의 단편 작업으로 주목받아온 임오정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고등학생 나미(오우리)와 선우(방효린)가 함께 자살을 하려던 중에 자기를 괴롭힌 채린(정이주)이 서울에서 잘 사는 모습을 보고...
<서치 2>...
* 영화 <파이트 클럽>의 주요 내용이 포함된 글입니다. ...
영화 <그 겨울, 나는> 메인 포스터. 사진 제공=(주)더쿱디스트리뷰션...
남아시아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정도의 나라가 떠오른다. 국내 곳곳에서 이주노동자로 힘들게 일하는 이들도 언뜻 생각이 난다. 영화에서도 단역 배우들을 조금 본 것 같기도 한데…. 하지만 이게 남아시아의 다가 아니다.
3년 간 일하며 점수를 잘 채우면 정규직 전환을 시켜주겠다는 회사의 약속을 믿고 일하던 ‘더마트’ 노동자들은, 어느 날 벼락 같이 해고 통지를 받고 당황한다. 회사는 직접고용 대신 용역업체를 끼고 하청고용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판단했고, 그 참에 노동자 전원이 근로계약 해지...
<로스트 시티> 또 한 건 했다.
진한 선, 깊은 눈 그림자, 툭툭 내뱉는 듯한 말투. 악역 전문배우라는 이미지엔 유오성의 깊이를 모르는 인상도 한몫했을 것이다. 유오성은 자신의 인상을 무기 삼아 때로는 주인공의 반대편에 서서, 때로는 주인공의 곁에서, 또 때로는 주인공이 되어 배우의 길을 걸어왔다.
* <펜트하우스>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잘 될 줄은 아무도 몰랐다. 막장이란 수식어를 뛰어넘고, 이젠 안 보는 사람이 고독해질 정도로(!) <펜트하우스>의 인기는 여전히 뜨겁다. 무엇보다 <펜트하우스>는 매회 희대의 명장면들을 탄생시키는 이지아, 유진, 김소연...
<인비저블맨>...
유니버설 픽쳐스 신작 <인비저블맨>이 호평과 함께 좋은 성적까지 거두며 9주차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유독 부진했던 올해 할리우드 공포 영화 성적표에서 마침내 ‘B+’ 이상의 점수를 보게 됐으니(시네마스코어 기준), 그동안 ‘좋은 공포 영화’에 목말랐을 관객들에겐 희소식이 아닐...
비록 계속되진 못했지만 ‘다크 유니버스’의 야심은 거창했다. 과거 황금기 유니버설의 지대한 돈줄을 했던 고전 몬스터 세계관의 영화들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처럼 새롭게 가져와 연계시킨다는 계획이었다.
<성혜의 나라>...
<인비저블맨>...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무섭게 빨라지고 있다. 극장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도 뚝 끊겼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주말(22~23일) 극장을 찾은 관객수는 50만 5146명이다.
1940~50년대 할리우드는 수많은 서부영화를 양산하며, 한참 영웅들의 무용담에 빠져 정의감에 도취됐었다. 그러다 1960년대 들어서는 시대 변화와 함께 피로도가 증가하면서 영웅들의 ‘약빨’도 조금씩 빠지기 시작했다.
요즘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대세지만, 세계관 결합은 크로스오버로 시작됐다. 크로스오버는 다른 세계관의 캐릭터들이 한 작품에서 만나는 형식으로, 시네마틱 유니버스보다 이벤트성이 강하다. 영화는 물론이고, 만화, 드라마에서도 만날 수 있는 크로스오버.
데이빗 린치, 찰리 채플린,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수많은 명작을 남긴 거장. 당연히 맞다. 그런데 정답이 하나 더 있다. 바로 본인이 직접 영화 스코어를 만들어본 감독이라는 점이다. 어떤 작품이 있는지 살펴보자.